2024-04-26 14:51 (금)
“KC인증 어린이 사용제품 유해물질 범벅 대책 시급”
상태바
“KC인증 어린이 사용제품 유해물질 범벅 대책 시급”
  • 김관일 기자
  • 승인 2018.08.17 0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규환 의원, 정부 제품 안전성 담보 위한 제도 마련 및 사후관리 제도 강화 절실 지적
김규환 의원

[KNS뉴스통신=김관일 기자] 어린이장난감과 생활용품 등에 사용되는 납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생활환경중 납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어린이제품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인증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문제가 제기돼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은 17일 최근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의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2018년 제품 안전성 조사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총 103개 어린이제품 중 87개에서 KC인증시 없었던 유해물질(미충족사항)이 다량 적발됐다며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을 받은 103개 제품들의 시험성적서를 제출받아 제조에서 유통까지의 과정을 역추적한 결과 시험성적서 발급 당시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중금속 물질이 안전성조사에서 다량 검출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제조사가 KC인증 이후 제품단가를 낮추려고, 제품을 변형·변질해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허점이라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이같은 문제는 국표원 안전성조사의 시행범위·주기, 대상 등의 기준이 미비하고, 시험성적서 발급 당시와 유통한 이후의 변경사항은 조사를 하지 않아 초래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생활 환경중의 납 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은 어린이의 경우 특히 위험하며, 그 증상이 조기발견이 쉽지 않아 신체성장, 뇌기능 발달 등에 큰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으로는 카드뮴(Cd), 수은(Hg), 비소(As), 납(Pb), 구리(Cu), 아연(Zn)등이 있다.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납은 피부염·각막염·중추신경장애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카드뮴은 신장, 호흡기계 부작용 및 어린이 학습능력 저하가 우려된다. 또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하는 환경호르몬에 영향을 주며, pH는 아토피 유발 가능성이 높 다.

국표원 안전성 조사를 보면 중국산 제품이 76건으로 가장 많이 적발됐으며 국내산은 11건, 대만산 2건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적발 사례를 보면 어린아이들이 사용하는 머리핀에서 기준치를 615배 이상 초과하는 납 성분이 발견돼 리콜조치 됐다.

또한, 안전확인신고대상(어린이용 완구 등) 74개 제품 중 72개에서 KC인증 당시에는 없었던 안전요건 미충족사항이 적발됐으며, 이중 2개의 제품은 안전확인 신고도 하지 않았다.

공급자적합성 확인대상(어린이용 장신구 등)에서는 29개 제품 중 15개에서 KC인증시 없었던 안전요건 미충족사항이 적발됐으며, 이중 6개의 제품은 시험성적서를 발급받지 않았고, 8개의 제품은 발급한 시험성적서에 유해물질 등 해당 안전요건 검증내역이 존재하지 않은 문제들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는 적발된 103개의 업체가 어린이제품안전 특별법 22조, 41조 등을 위반(변경신고 등)해 처벌(3000만원, 3년징역) 대상임에도 집행조차 안하고 묵인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김 의원은 밝혔다.

김 의원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유명무실한 KC인증에 있다고 꼬집었다. 현행법과 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들이 사용하는 생활용품의 안전관리는 전안법상 ‘안전인증, 안전확인, 공급자적합성 제품’ 3단계로 구분해 관리되고 있다.

그런데 제조사가 공인인증기관을 통해 시험성적서를 최초에 발급받으면 추가적으로 제품을 유통하는 데에는 제약이 없어 사업자가 제조 이후 단가를 낮추려 제품의 성분을 변형, 변질해도 확인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에 김 의원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것은 정부의 역할이자 기본중의 기본이다”면서 “산업부는 지속적인 제품 안전성 담보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중국 등의 유해물질 생산 기업을 주요관리 대상으로 삼는 사후관리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어린이제품법상에는 불법 제조사 등을 처벌하는 규정이 명시돼 있지만 산업부는 집행조차 안하고 묵인했다”면서 “어린이제품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김관일 기자 ki21@kns.tv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